contextLoads() FAILED
문제발생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었는데 Github Action pr test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pr에 많은 기능의 commit이 있어서 하나씩 살펴봤지만 test가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지 못해서 팀원들과 같이 논의하면서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문제원인 파악하기 properties가 잘 매핑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에러...
문제발생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었는데 Github Action pr test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pr에 많은 기능의 commit이 있어서 하나씩 살펴봤지만 test가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지 못해서 팀원들과 같이 논의하면서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문제원인 파악하기 properties가 잘 매핑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에러...
@Entity, @Table### @Entity @Table(name="TABLE", schema="NAME", uniqueConstraints={@UniqueConstraint(name="unique_pid", columnNames="PersonalId")}) public class Table { // Entity 속성 생략 ...
JPA는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도록 ddl-auto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옵션의 종류는 create, create-drop, update, none, validate 종류가 있습니다. 주로 개발환경이나 테스트 서버에서는 update를 사용해야 하고 실서버에서는 절대 사용하면 안됩니다. 주로 운영서버에서는 validate나 none을 사...
문제발생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었는데 Github action pr test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pr에 많은 기능의 commit이 있어서 하나씩 살펴봤지만 test가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지 못해서 팀원들과 같이 논의하면서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문제원인 파악하기 properties가 잘 매핑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에러...
JPA는 Java Persistence API로 자바 플랫폼 SE와 자바 플랫폼 EE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관리(ORM 기술 표준)를 표현하는 자바 API입니다. 여기서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이란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의 관계를 매핑해주는 도구로 자바 외 언어에서는 node.js에서의 Sequel...
Learn Kotlin by Example 이 글의 모든 예시는 kotlin doc에서 차용했습니다. 모든 내용을 정리하지는 않고 아래 kotlin을 시작하며와 같은 기본 내용을 제외한 중요내용을 추가했습니다. 코틀린 타입 코틀린은 원시 타입과 래퍼 타입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원시 타입을 사용하지 않고 컴파일시에 자바의 원시 타입과 래...
토의 스터디로 진행된 학습내용을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github 1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최근에 정리한 백엔드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포스팅과 유사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단일서버 만약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어떻게 될까요? DNS에서 해당하는 IP주소를 찾고 그 주소에 해당하는 웹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내게...
글또 9기 활동을 하면서 Udemy 지원을 받아 듣게 된 강의 내용을 정리한 페이지입니다. 1. 개요 멀티스레드는 응답성과 성능을 위해 필요합니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응답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이 진행중에도 UI로 마우스를움직여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는데 사실은 Task에 따른 스레드...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책 내용 요약내용 + 직접적으로 시험(2020년 1회 ~ 2023년 1회))에 나왔던 문제는 기호(🔴) 표기를 해두었습니다. 1장. 요구사항 확인 1-1. 현행 시스템 분석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구성/기능/인터페이스 파악 - 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 파악 TCP/IP 인터넷 프...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 온오프라인 스터디 내용과 기타 참고자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Intro 엄청난 양의 트래픽, 개발주기 단축, 자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병렬처리의 증가, 서비스형 인프라(IaaS), 고가용성 요구 등으로 기술은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히 계산 중심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데이터의 양, 복잡성,...